- Amazon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
- 테이블간의 관계
- DB쉽게 만들 수 있음
- 별도의 제공으로 가용성
- 데이터 유지 보수,
- 백업
- Aurora DB
S3가 제공하는 것
- 제공과 유지 / 가용성과 무결성 보장
db - bastion host 터널링을 통해서 db를 연결해야한다.
bastion host란? 프라이빗 서브넷 리소스를 관리하기위해서 퍼블릭 서브넷 연결접속하기 위한 서버 호스트



리액트 서버 인스턴스
- 보안그룹 생성 > 추가 http
생성된 인스턴스 주소로 bitvise 연결
httpd start 후 퍼블릭 주소로 접근

리액트 코드에 리액트 서버 인스턴스 퍼블릭 주소 변경
SFTP로 build 파일 이동
후에 리액트 서버 퍼블릭 주소 입력시 구동 확인

S3생성
- SCL 활성화로 불특정 다수 접근 가능
생성한 버킷에 리액트 코드(빌드한 결과)를 업로드
build파일 업로드 > 액세스 권한 부여 허용
정적 웹 호스팅 > 활성화
앤드포인트 할당 > 버킷 호스팅 주소로 접속
베스쳔 호스트, ssh 터널링, s3(파일 저장기능) ,

Lamda

db서비스, s3,
모듈프로젝트
- 프론트앤드, 백엔드, 데이터 db에 읽어오는 프로그램 aws 리소스에 불러오는 절차
- 과정에서 고려해야 될 보안점검 사항을 도출
- 오토스케일링, 노드밸런싱을 넣어서
- 아키텍처, 그림을 넣어서 설명
>> 어떤 것 점검?
- db를 왜 프라이빗 서브넷
- s3는 왜 퍼블릭?, ec2는 왜 bastion host
'수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12/8 (0) | 2023.12.08 |
|---|---|
| 12/7 : 서버리스 아키텍처 (0) | 2023.12.07 |
| 12/5 :AWS 명령어, CLI 이용 (0) | 2023.12.05 |
| 12/4: AutoScaling (0) | 2023.12.01 |
| 12/1: vpc, ec2 (0) | 2023.12.01 |